top 커맨드
TOP 키워드는 현 리눅스 서버의 현황을 보여주는 커맨드 입니다.
이 것을 가지고 좀도 예쁘게 보여주거나 하는 툴도 여럿 잇는걸로 알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은 것을 가지고 공부해볼까 합니다.
- 제가 혼자 가지고 공부하는 서버 입니다.
■ 필드별 설명
맨윗줄 : 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평균 부하
top - 현재시간,
재부팅없이 운영중인 업타임시간,
로그인된 유저수,
1분, 5분, 15분에 대한 각각의 평균 부하율(load average)
두번째줄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황
tasks - 실행중인 전체 프로세스수(total),
실행중인 프로세스(run),
유휴상태의 프로세스(sleep),
정지된 프로세스(stop),
좀비 프로세스
세번째줄 : CPU의 사용에 대한 상황
cpu(s) - 사용자가 사용중인 cpu 사용률(us),
시스템이 사용중인 cpu 사용률(sy),
nice정책에 의해 사용중인 cpu 사용률(ni),
cpu 미사용률(id),
입출력 대기상태의 사용률(wa)
네번째줄 : 메모리의 사용에 대한 상황
mem - 전체 물리적인 메모리(total),
사용중인 메모리(used),
사용되지 않는 여유 메모리(free),
버퍼된 메모리의 양(buffers)
다섯번째줄 : 스왑메모리의 사용에 대한 상황
swap- 전체 스왑 메모리(total),
사용중인 스왑 메모리(used),
남아있는 스왑메모리(free),
캐싱메모리(cached)
■ 필드메뉴 설명
PID |
프로세스 ID (PID) |
USER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 |
PRI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priority) |
NI |
NICE 값. 일의 nice value값이다.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다. |
VIRT |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SWAP+RES) |
RES |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Resident Size) |
SHR |
분할된 페이지,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 |
S |
프로세스의 상태 |
%CPU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 |
%MEM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 |
TIME+ |
프로세스가 시작하여 사용한 총 CPU 시간 |
COMMAND |
실행된 명령어 |
■ 명령 실행 후 사용하는 옵션들
shift + t |
실행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 |
shift + m |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령 |
shift + p |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 |
space bar |
refresh |
k |
프로세스 kill - k 입력 후 종료할 PID 입력 signal을 입력하라고 하면 kill signal인 9를 입력 |
c |
명령인자 표시/비표시 |
u |
입력한 유저의 프로세스만 표시 - which u |
q |
top 종료 |
■ 실행 커맨드와 함께 사용 가능한 옵션들
아무것도 입력안함 : cpu사용량 순서대로 나열
-s : 실행후 추가 명령어가능
-d : 갱신시간( 기본 3.0 초) 초단위로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