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 조작 커맨드Technique/LPIC 2019. 5. 8. 14:56반응형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하거나 이동시키거나 삭제하거나 등의 커맨드는 Linux를 사용하는 데 있어선 필수 불가결이다. 옵션의 사용방법도 포함하여 확실히 이해해 두는 것이 좋다.
ls [옵션] [파일명 또는 디렉터리 명]
옵션 설명 -a [.]부터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한다 -A [.]부터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하지만 [.와 ..]은 표시하지 않는다 -d 디렉터리 자신의 정보를 표시한다. -F 파일의 종류도 표시한다( 디렉터리는 [/] 실행파일은 [*] 심벌릭 링크는 [@]가 붙는다 -i i 노드 번호를 표시한다. -l 파일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t 날싸순으로 표시한다. -h 단위를 붙여서 표시한다. i 노드 번호란 것은 파일의 관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i노드에 붙어 있는 번호이다.
CP 커맨드
cp [옵션] 복사할 파일, 디렉터리 명 또는 복사 후 파일, 디렉터리 명
옵션 설명 -f 복사될 곳에 같은 이름의 파일, 디렉터리가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i 복사될 곳에 같은 이름의 파일, 디렉터리가 존재할 경우 덮어쓸지 확인. -p 복사할 파일, 디렉터리의 속성( 소유자, 소유 그룹, 접근권한, 타임스탬프)을 모두 복사한다. -r, R 디렉터리 내부를 재귀적으로 복사한다( 디렉터리 복사 ) -d 심벌릭 링크를 심벌릭 링크로써 복사한다. -a 가능한 원래 파일의 구성과 속성을 복사될 곳에도 저장한다 ( -dpR과 같음 ) 디렉터리를 복사할 경우 무조건 -R(-R)을 붙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에러가 난다. 또한, 파일의 속성을 저장한 채로 복사하기 위해선 -p 옵션을 붙여야 한다
mv 커맨드
mv [옵션] 이동하기 전 파일, 디렉터리 이동 후 파일, 디렉터리
옵션 설명 -f 이동 후의 파일, 디렉터리 명이 존재할 경우 덮어쓴다. -i 이동 후의 파일, 디렉터리 명이 존재할 경우 덮어쓸지 확인한다. mkdir 커맨드
mkdir [옵션] 디렉터리 명
옵션 설명 -m 지정한 접근 권한으로 디렉터리를 작성한다. -p 필요하다면 부모 디렉터리도 같이 만든다 rm 커맨드
rm [옵션] 파일명
옵션 설명 -f 유저에게 확인 없이 바로 삭제 -i 삭제하기전에 유저에게 확인 -r, R 서브 디렉터리도 포함하여 재귀적인 디렉터리 전체를 삭제 rmdir 커맨드
빈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디렉터리 내에 파일이나 서브 디렉터리가 남아 있을 경우 삭제할 수 없다. 그 경우는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 서브 디렉터리를 삭제한 뒤 다시 삭제하거나, rm -rf 커맨드를 이용하여 디렉터리 내의 남은 파일, 디렉터리를 다 같이 삭제할 수 있다.
rmdir 디렉터리 명
옵션 설명 -p 복수계층의 빈 디렉터리를 모두 삭제한다 touch 커맨드
파일의 타임스탬프( 액세스 시열과 수정 시열 )을 현재 시열이 저장한 날짜로 변경한다.
touch [옵션] 파일명
옵션 설명 -t 타임 스탬프를 ([[CC] YY] MMDDhhmm [. SS])로 변경한다
CC : 서력 앞 2자리
YY : 서력 뒤 2자리
MM : 월
DD : 일
hh : 시간 ( 24시간 )
mm : 분
SS : 초 ( 생략 가능, 지정하지 않을 경우 00 )
-a 액세스 시열만 변경 -m 수정시 열만 변경한다. File 커맨드
파일의 종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플그램 등의 바이너리 파일을 cat 커맨드로 열면 문자가 깨지고 말지만, 어떤 파일 인지 알 수 없다면 file커맨드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응형'Technique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프와 리다이렉트 (0) 2019.05.08 meta 문자 이용 (0) 2019.05.08 매뉴얼 참조 (0) 2019.05.07 커맨드의 실행 (0) 2019.05.07 환경 변수 PATH (0) 2019.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