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LPIC
-
SysVinitTechnique/LPIC 2019. 4. 16. 14:57
시스템의 전류를 넣고 난 뒤 Linux가 기동되는 수순은 요 수년간 크게 변화하였다. 이전까지는 UNIX 계 OS 전반에 넓게 사용되었던 SysVinit( System Five Init) 가 주류로, 지금까지는 LPIC에서도 SysVinit를 전제로 하였었다. 그러나 현재는 Systemd라는 새로운 기동 방법이 주류가 되었다. LPIC에는 SysVinit 와 systemd 양쪽 다 지식을 요한다. SysVinit SysVinit는 UNIX의 SystemV로 채용되어있던 기동의 방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Linux 시스템에 최초로 실행된 프로세스인 init 가 /etc/inittab 파일의 설정에 따라 시스템이 필요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킨다. init가 /etc/inittab 파일을..
-
리눅스의 기동과 종료Technique/LPIC 2019. 4. 16. 14:48
시스템이 기동 되기 전까지의 흐름 시스템의 전류가 들어가는 순간부터 OS가 기동되기 전까지의 흐름은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PC( x86/x86_64아키텍처 )에 따른 기동 순서를 알아보자 전류를 넣으면 최초의 BIOS/UEFI가 기동된다. BIOS/UEFI는 하드웨어의 체크나 초기화를 실시하며, 기동 디바이스 ( 하드디스크나 SSD )에 기록되어 있는 부트로드 ( boot loader )를 로드한 후 부트로더에 제어를 넘긴다. 부트로더의 주 역할은 기동된 디바이스로부터 커널을 메모리상에 읽어 들이는 것이다. 커널은 메모리의 초기화나 시스템 잠금의 설정을 실행, 임시의 루트 파일 시스템 ( initramfs : 초기 RAM 디스트 )를 마운트 한다. 초기 RAM 디스크에는..
-
기본적인 시스템 하드웨어Technique/LPIC 2019. 4. 16. 14:41
CPU 컴퓨터의 두뇌라 불린다. 연산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메모리상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고, 처리를 실행한다. CPU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Linux는 매우 많은 CPU의 종류에 대응하고 있다. GHz라고 표기하는 동작 주파수는 성능의 지표 중 하나로 사용한다. 아키텍처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설계를 의미하지만, CPU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어이기도 하다. Intel 계열의 CPU를 나타내는 x86, IA-32, x86 아키텍처를 64비트로 확장시킨 x86-64, 조립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ARM 등이 있다. 메모리 데이터를 기억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에 기억되는 내용은 시스템의 전류가 끊어지는 순간 사라진다. Linux 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256 ~ 1GB 정도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하드..
-
LPIC와 LinuC는?Technique/LPIC 2019. 4. 15. 14:38
LPI 인정 시험 ( LPIC )와 Linux 기술사 인정 시험 ( LinuC )는 Linux 기술자의 기술력을 인정하는 시험이다. 어느 쪽이든 출제 범위는 똑같지만, 시험문제는 다르다. 쌍방의 시험은 같은 특정비 관리 활동 법인인 LPI-Japan이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다. Linux의 능력 시험으로는 Red Hat 사가 실시하는 RHCE ( Red Hat Certified Engineer ) 시험 등이 있지만, LPIC와 LinuC는 벤더나 디스트리뷰션에 의존하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으로 Linux 기술자의 기술력을 테스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