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
-
[ 기본정리 ] 우분투 패키지Technique/LINUX 2016. 5. 11. 22:39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는 소스코드 형식 또는 바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형태로 배포된다. 소스코드로 배포하는 경우는 대부분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은 후 압축하여 배포한다.그리고 바이너리 패키지로 배포되는 경우에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패키지는 RPM과 .deb의 두 가지 형식이 있다. 이 중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deb 형식의 패키지를 사용하고, RPM 형식은 레드햇 계열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한다. 우분투에서도 RPM 형식의 패키지를 설치할 수는 있으나 별도의 명령을 설치해야 가능하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우분투 패키지의 구성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의 표준 패키지를 사용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 제거가 간단하다. 특징- 바이너리 파일로 구성되어 있어 컴파일이 필요 없다..
-
[ 기본정리 ] 데몬 프로세스Technique/LINUX 2016. 5. 10. 23:31
데몬(Daemon) 은 리눅스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원격 접속 서버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들이 바로 데몬이다. 1. 데몬의 동작 방식데몬 혼자 스스로 동작하는 독자형 ( Standalone ) 과 데몬을 관리하는 슈퍼데몬에 의해 동작하는 방식이 있다.독자형의 경우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항상 동작하는데, 자주 호출되는 데몬이 아니라면 시스템의 자원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슈퍼데몬에 의한 동작 방식은 푱소에는 슈퍼 데몬만 동작하다가 서비스 요청이 오면 슈퍼데몬이 해당 데몬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독자형보다는 서비스에 응답하는데 시간이 좀 더 걸릴 수 있지만 자원으라 효율적으로 사용한..
-
[ 기본정리 ] init 프로세스와 런레벨Technique/LINUX 2016. 5. 10. 23:11
init 프로세스는 PID가 1번인 프로세스로 모든 프로세스의 조상 역할을 한다init 프로세스는 부팅 과정에서 커널에 의해 실행되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프로세스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1. init 프로세스유닉스에서 유래된 전통적인 init 프로세스는 스크립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다른 프로세스들을 동작시켰다. 그러나 최근 우분투를 비롯해 유닉스나 리눅스 대부분이 스크립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기존의 방식을 바꿔 이벤트 기반으로 동작하는 방식으로 init를 대체하고 있다.우분투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upstart를 init대신 사용하는데 다만 기존의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과의 호환을 위해 실행 파일 이름은 init를 유지하고 있다. init의 동작 방식이 바뀜에 따라 전통적으로 init 프..
-
[ 기본정리 ] 리눅스 시스템 부팅Technique/LINUX 2016. 5. 10. 22:38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은 크게 PC 부팅과 리눅스 부팅으로 나뉜다.다시 말 하자면 리눅스가 설치된 하드웨어의 부팅과 리눅스 운영체제의 부팅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1. 바이오스 단계전원 스위치를 켜서 부팅하면 제일 먼저 바이오스 (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가 동작한다.바이오스는 보통 ROM에 저장되어 있어 흔히 ROM-BIOS라고 부른다. 바이오스는 PC에 장착된 기본적인 하드웨어의 상태를 확인한 후 부팅 장치를 선택하여 부팅 디스크의 첫 섹터에서 512바이트를 로딩한다.이 512 바이트를 마스터 부트 레코드( Master Boot Record MBR ) 이라고 하는데, 디스크의 어느 파티션에 2차 부팅 프로그램 ( 부트 로더 ) 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
-
[ 기본정리 ] 마운트Technique/LINUX 2016. 5. 9. 23:24
파일 시스템이 디렉토리 계층 구조와 연결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해당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다. 이렇게 파일 시스템을 디렉토리 계층 구조의 특정 디렉토리와 연결하는 것을 마운트라고 한다. 마운트 포인트디렉토리 계층 구조에서 파일 시스템이 연결되는 디렉토리를 마운트 포인트 라고한다.루트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 / 디렉토리도 마운트 포인트가 된다. 파일 시스템 마운트 설정 파일여러 개로 나누어진 파일 시스템은 언제 마운트 될까? 시스템 관리자가 일일이 마운트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리눅스 시스템을 부팅할 때 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할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CD-ROM, DVD나 USB메모리 같은 이동식 저장 장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파일 시스템은 부팅할 때 마운트 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리눅스..
-
[ 기본정리 ] 파일 시스템과 디렉토리 계층 구조Technique/LINUX 2016. 5. 9. 22:55
디렉토리 계층 구조는 리눅스의 전체 파일과 디렉토리를 어떤 구조로 정리하고 관리할 것인지를 정의한 것이다.실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은 디렉토리 계층 구조에 연결되어야 사용자가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하기디렉토리 계층 구조에서 보이는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은 하나의 파일 시스템에 둘 수도 있고 여러 파일 시스템에 나누어 구성할 수도 있다.우분투를 설치할 때는 기본 설정을 사용하여 한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했다.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할 경우 /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면 된다. 여러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하기디렉토리 계층 구조를 여러 파이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파일 시스템 1은 / 디렉토리에, 파일 시스템2는 /usr 디렉토리에 파일 시스템..
-
setcookieTechnique/PHP 2016. 5. 9. 12:16
setcookie 쿠키를 송신함 bool setcookie ( string $name [, string $value = "" [, int $expire = 0 [, string $path = "" [, string $domain = "" [, bool $secure = false [, bool $httponly = false ]]]]]] ) setcookie()는 기타 헤더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쿠키를 설정한다. 기타 헤더정보와 같이 쿠키는 스크립트에 따라 어느 출력보다 먼저 송신될 필요가 있다. ( 이것은 HTTP 프로토콜의 규약이다 ) 이나 태그는 물론 공백도 포함, 모든 출력보다도 먼저 이 함수를 호출 하도록 해야만 한다. 한번 쿠키가 송신되면 다음 페이지의 로드로부터는 $_COOKIE 배열에 의해 ..
-
[ 기본정리 ] inode의 구조Technique/LINUX 2016. 5. 8. 22:00
inode는 크게 두 부분, 즉 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과 파일 내용이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나눠어 진다.inode 가저장하는 파일 정보는 파일 종류, 파일 접근 권한, 팡리 크기, 소유자, 접근 및 수정 시간 등으로 사용자가 ls -l 명령으로 확인하는정보이다.즉 ls- l 명령은 inode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읽어서 출력하는 것이다. inode 가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저장하는 부분은 직접 블록 ( Direct Block )과 간접 블록 ( Indirect Block ) 이중 간접 블록 ( Double Indirect Bolck ) 으로 구분된다. 직접 블록은 데이터 블록에 대한 주소를 직접 가지고 있고, 간접 블록과 이중 간접 블록은 데이터 블록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