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LPIC
-
네트워크의 설정Technique/LPIC 2019. 11. 10. 17:49
네트워크의 기본 설정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커맨드를 사용하는 설정 방법 ( 예를 들면 ifocnfig 커맨드를 사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등 )과 /etc 이하의 설정 파일에 기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커맨드를 사용한 설정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기능을 재기동하면 초기화되고 만다. 영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설정 파일에 설정을 기록한다. 설정 파일은 리눅스의 버전에 따라 다르다. /etc/hostname 파일 호스트명이 기록되어 있다. 리눅스의 디스트리뷰션에 따라 /etc/HOSTMANE과 같은 파일명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etc/hosts 파일 호스트명과 IP주소와읭 대응을 기록한다. 소규모의 네트워크라면 이 파일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를 배포하는 것으로 네..
-
TCP/IP의 기초Technique/LPIC 2019. 11. 10. 16:38
통신을 행할 때의 결정을 프로토콜이라고 칭한다. 현재 기업/가정 내의 LAN이나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프로토콜이 TCP/IP이다. TCP/IP TCP와 IP는 별도의 프로토콜이지만 여기에 UDP 등의 관련 프로토콜을 합쳐 프로토콜 무리로서 TCP/IP로 통합하고 있다. TCP/IP의 구조를 OSI 참조 모델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OSI 참조모델 TCP/IP의 구조 어플리케이션층 프레젠테이션 층 세션 층 어플리케이션 층 (HTTP, SMTP, TELNET 등 ) 트랜스포트 층 트랜스포트 층 ( TCP, UDP 등 ) 네트워크 층 인터넷 층 ( IP, ICMP 등) 데이터 링크 층 물리 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 OSI 참조모델 ISO( 국제 표준화 규격)와 현 ITU-T( 국제 전기 통..
-
프린터의 관리Technique/LPIC 2019. 10. 29. 17:21
인쇄의 방법 많은 Linux 버전들에서는 인쇄 서브시스템으로서 CUPS( Common Unix Printing System )을 채용하고 있다. CUPS의 주요한 특징은 아래와 같다. IPP ( Internet Printer Protocol ) 네트워크 상의 프린터를 서포트하는 프로토콜로서 IPP를 채용하고 있다. 인터넷을 경유한 인쇄도 가능하다 PPD ( PostScript Printer Description ) 파일의 서포트 Adobe의 PPD 형식의 파일 ( 텍스트 파일) 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설정이 가능하다. Web 기반의 설정 가능 Web 브라우저로부터 설정가능한 툴을 가지고 있다 프린터 클래스의 서프토 복수의 프린터를 1대의 프린터로 보이게 하는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다. CUPS를 사용한 인..
-
메일 관리Technique/LPIC 2019. 10. 29. 16:43
전자 메일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는 MTA ( Message Transfer Agent )나 MDA ( Mail Delivery Agent ), MUA ( Mail User Agent )가 있다. 우선은 작성된 메일이 상대에게 도착하기까지의 일반적인 흐름을 알아 두자. 메일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MUA)로 작성된 메일은 송신용 MTA1 에 보내진다. MTA1은 메일 주소로부터 배송처 메일 서버를 조사하여 메일을 MTA2로 보낸다. MTA2가 메일을 받안뒤 로컬 배송 프로그램인 MDA가 메일의 도착지가 되어 있는 유저의 ㅁ일 박스에 메일을 저장한다. 받은이 측에서 POP 서버나 IMAP서버를 경유하여 자신의 메일 박스로부터 메일을 받게 된다, 메일의 배송에 사용되는 MTA는 SMTP 프로토콜로 메시지를 주..
-
시스템 로그의 설정Technique/LPIC 2019. 10. 29. 16:23
컴퓨터의 동작 상태의 기록을 로그라고 한다. 세큐리티나, 시스템 관리의 필요성에 의하여, 로그의 출력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것이 중요하다. Linux에서는 syslog를 사용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로그파일에 기록하거나, 콘솔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syslog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메시지를 받아들이거나 출력처나 우선도에 따라서 분류하여 지정된 출력처로 보낸다. 시스템 로그 ( 시스로그 )를 취득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에는 syslog 쪽이 rsyslog나 syslog-ng 등이 사용된다. 이편에서는 syslog 또는 rsyslog를 다룰 예정이다. 하지만 대부분 그러하듯 사용방법은 대부분 비슷하다. 참고 CentOS7 또는 Ubuntu 14.04 는 rsyslog를 표준으로 채용하고 있다..
-
시스템 락의 설정Technique/LPIC 2019. 10. 29. 15:07
컴퓨터에서 다루는 시간이 부정확하다면 로그나 메일에 기록되는 시간 또한 부정확하게 된다. 시스템의 내부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시스템 클락과 하드웨어 클락 컴퓨터에는 하드웨어로서 내장되어 있는 시계가 있어 하드웨어 클락이라고 한다. 이 시계는 전류가 off의 상황에서도 동작한다 ( 컴퓨터 안에 들어가 있는 전지를 이용해서 동작한다 ) 반면 하드웨어 클락과는 다르게 Linux의 커널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시계가 있다. 이것을 시스템 클락이라고 한다. 시스템 클락은 Linux가 기동될 때에 하드웨어 클락을 참조하여 설정하게 되지만, 이후에는 서로서로 다르게 흘러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이 기동 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하드웨어 클락과 시스템 락의 차가 발생할 수 있다. date ..
-
cron과 at의 접근제한Technique/LPIC 2019. 10. 29. 14:29
cron이나 at의 이용제한은 유저 단위로 실행 가능하다. cron의 접근 제한 cron을 이용하는 유저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etc/cron.allow /etc/cron.deny를 사용한다. /etc/cron.allow에는 cron의 이용을 허가하는 유저를 /etc/cron.deny에는 cron의 이용을 거부하는 유저를 기록한다. 이것들의 파일을 아래와 같은 순으로 허가된다. /etc/cron.allow 파일이 있다면 그곳에 기록되어있는 유저만이 cron을 이용할 수 있다. ( /etc/cron.deny 파일은 무시한다 ) /etc/cron.allow 파일이 없다면 /etc/cron.deny를 참조하여 /etc/cron.deny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모든 유저가 cron을 이용할 수 있다. at의 접근..
-
job schedule 관리Technique/LPIC 2019. 10. 27. 21:24
시스템 운용에는 백업이나 로그파일의 관리 등 메인터넌스 작업이 필요하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인해 시스템 관리 코스트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Linux에는 정기적인 실행을 하는 job으로는 cron을 1회 만의 job의 예약을 할 경우에는 at커맨드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cron 정기적인 작업을 실행하는 cron은 스케줄링을 관리하는 데몬인 crond와 스케줄링을 편집하는 crontab 커맨드로 구성된다. crond 데몬은 1분 단위로 crontab 파일을 확인하여 실행대상의 스케줄의 존재를 확인하여 실행한다. 유저의 crontab 유저의 crontab 파일은 /var/spool/cron 디렉토리 이하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s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