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이력 유형 데이터 모델링Technique/RDBMS 2015. 12. 21. 22:06
이력 :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형식이력 데이터 : 시간에 따라 발생하고, 동일한 컬럼의 유형에 발생한다. 또는 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테이블에 비해 대량의 데이터가 테이블에 적재될 가능성이 크다.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에 발생하는 트랜잭션의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한다. 이력의 유형은 테이블 구분에 따라, 컬럼과 로우 단위에 따라, 이력 데이터의 발생 방법에 따라 분류 할 수 있다. 1.테이블 구분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1.내부 스탭샷 이력 - 별도의 테이블 없이 시간에 따라 자기 자신의 테이블에 데이터가 발생되는 구조- 이력 테이블이 마스터이므로 관계를 통해 PK구조도 모두 상속됨- 특징 : 일부 속성값이 변경되어도 전체 속성값 생성 2.1:M 스냅샷 전체 ..
-
식별자관계와 비식별자관계 설정Technique/RDBMS 2015. 12. 21. 21:45
만약 엔티티 간의 관계 설정에서 식별자관계와 비식별자관계를 잘 모르고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에 빠질 수 있다. - 식별자관계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PK 속성의 숫자가 증가할 수록 관련된 SQL 구문이 복잡해져 복잡성으로 인한 개발 오류를 유발하게된다.- 비식벼라관계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테이블 간의 과다한 조인을 유발하여 조인에 의한 성능 저하를 불러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 관계 도출시 식별자관계와 비식별자관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 해야한다- 업무적 특징, 조인 관계, PK 구성을 고려하여 식별자관계/비식별관계를 결정 해야한다. 데이터 모델링 수행에서 식별자/비식별자관계의 구분 설정은 데이터 모델링 초기단계인 분석 ..
-
[ J-pop ]鬼束ちひろ-月光카테고리 없음 2015. 12. 20. 21:24
이번에 소개 하고 싶은 음악은싱어송 라이터 오니츠카 치히로의 월광 이라는 음악입니다.트릭 이라는 일본 드라마의 1기 엔딩 음악으로 유명해 졌구,이 음악을 바탕으로 오니츠카 치히로도 유명세를 탓습니다.2000년 에 나온 음악이구요,최근에는 분위기가 많이 바뀐 것 같지만,이당시의 오니츠카의 음악은 모두 이렇게 우중충한 분위기에 상당히 심각한 듯 한 음악으로 유명 했습니다. 하핳... 제가 좋아하는 목소리구요.여성이 이렇게 낮은 중저음으로 부르는 음악을 상당히 좋아합니다 핳아래엔 라이브 영상이 하나 있길래 링크해둡니다 ㅎㅎ
-
PK 컬럼 순서, 대충 하지 말자Technique/RDBMS 2015. 12. 20. 21:13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 분석-> 설계-> 구축-> 테스트-> 이행 ]의 프로세스를 거치는데 설계 단계 이후 완성된 데이터 모델을 토대로, 물리적인 테이블을 정해진 DBMS에 맞게 생성하게 된다.보통 사용화된 데이터 모델링 툴 을 이용해 모델을 만들고 DDL(Data Definition Language) 을 생성하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PK 컬럼의 순서는 그다지 신경쓰지 않고 생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PK의 순서를 신경쓰지 않은채 테이블을 만들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인덱스 구성에서 의도하지 않은 순서의 Primary Key Unique Index가 생성된다- 그에 따른 조회 SQL 실행 시 성능 저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많은 인덱스가 생성되므로 입력/수정/삭제..
-
spl_autoload_registerTechnique/PHP 2015. 12. 15. 10:02
bool spl_autoload_register ([ callable $autoload_function [, bool $throw = true [, bool $prepend = false ]]] ) 지정한 함수를 spl이 제공하는 __autoload큐에 등록합니다.큐가 아직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액티브 합니다. 혹시 당신의 코드안에 __autoload함수가 존재한다면 그것을 명시적으로 __autoload 큐에 등록하지 않으면 안됩니다.왜냐하면 spl_autoload_register는 spl_autoload 또는 spl_autoload_call에 따라 __autoload함수의 엔진캐쉬를 효율적으로 옮겨 놓기 때문입니다.복수의 autoload함수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spl_autoload_reg..
-
15/16시즌 첫 보딩!카테고리 없음 2015. 12. 13. 21:23
어느덧 겨울이 왔습니다!!!제가 일본와서 가장 재밋는 일이 바로 보드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ㅎㅎ한국에선 하이원 딱 한번 가봤는데 그때 재미들려 일본에 와서도 계속 보딩을 하고 있습니다.일본에는 한국이랑 비교할 수 없을만큼 엄청나게 스키장이 많습니다 ㅎㅎ그중 하쿠바( 白馬 ) 라는 곳에 갔습니다.나가노 현이라고 일본에서도 눈이 많이오는 곳으로 스키장이 많이 모여 있는 곳 입니다.회사에 마음맞는 분들이 계셔서 차를 얻어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ㅎㅎ이번에도 그 파티!! 항상 들르는 카미사토 라는 휴게소 입니다.이겨오면 카린토 만쥬 (かりんとうまんじゅ) 를 꼭 사먹습니다 ㅎㅎ유명하다고 하네요 ㅋㅋ 스키장 도착!! 그리고 스키 시작!!! ㅎㅎ기훈이 야나카상 마에다상 입니다 ㅋㅋㅋㅋㅋ 야나카상은 비록전직하셨지만매시즌..
-
11. 테스트와 가독성Technique/Readable Code 2015. 12. 11. 12:54
■ 읽거나 유지보수하기 쉽게 테스트를 만들어라 테스트 코드가 읽기 쉬우면, 사용자는 실제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만큼 더 이해하기 쉽다.다른 프로그래머가 수정하거나 새로운 테스트를 더하는 걸 쉽게 느낄 수 있게 테스트 코드는 읽기 쉬어야 한다.- 코드를 수정하는 일이 두려워진다. 아니 우리는 이 코드에 손대고 싶지 않아. 테스트 케이스를 모두 변경하는 일은 너무나 끔찍하다-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면 그에 따르는 새로운 테스트를 자겅하지 않는다. 시간이 흐름이 지나면서 더 낮은 비율의 코드가 테스트되며, 따라서 코드에 대한 확신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자신의 코드를 사용하는 사람이 테스트코드를 편하게 느끼도록 만들어야 한다. 코드를 사용자는 새로운 코드가 왜 현재 테스트에서실패하는지 쉽게 진단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