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 잡담 ] 궁극의 아키텍처와 최적의 아키텍처Technique/Infrastructure 2016. 4. 4. 22:35
' 이 아키텍처 누가 설계한 거야! '' 1주일만 기다려 주세요 진정한 아키텍처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이런 대화는 시스템 설계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광경이다.과연 ' 어떤 시스템이든지 요건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면 하나의 만능 아키텍처를 가지고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는 없을까? ''궁극의, 최적의 아키텍처 하나만 있다면 굳이 설계를 하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그러나 대답은 NO 이다. 왜냐하면 아키텍처나 설계 요소에는 반드시 장점과 단점이 공존한다. 장점만 있다면 가장 좋은 것을 취하면 되지만 단점은 가장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취사선택 상황이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제약이 많은 것이 시스템 도입 비용이다. 예를 들어 100만명..
-
[ Animation OST ] 浦壁多恵 - Azurite카테고리 없음 2016. 4. 4. 22:12
안녕하세요 ( __ )이번에 소개해드릴 곡은 浦壁多恵( 우라카베 타에 ) 의 Azurite 라는 음악입니다.이 음악은 2007년도에 방영한 히로익 에이지 라는 작품의 엔딩 테마 입니다.애니메이션 자체는 XEBEC이라는 곳에서 제작하였기에 상당히 믿음이 가는 곳입니다.XEBEC은 창궁의 파프너와 브레이크 블레이드 같은 굵직굵직한 작품들을 만든 곳이죠!제가 한창 애니를 보기 시작할 시점이라 꼼꼼히 잘 챙겨 본 작품중 하나입니다.스토리, 작화 재쳐놓고 이 엔딩곡이 너무 마음에 들었습니다.매회 엔딩마다 엔딩을 멍하게 바라만 보고 있엇죠.. ㅎㅎ그리고 마지막화의 엔딩은 거의 소오름...제가본 그 어느 애니보다 음악과 영상과 이야기가 너무너무 잘 어울리는 최고의 신이 아닐까 싶습니다. 전작( 창궁의 파프너 )에 워..
-
[ Animation OST ] May'n - pinkmosoon카테고리 없음 2016. 4. 4. 21:46
안녕하세요 ( __ )오늘 소개해드릴 곡은 마크로스 프론티어의 OST 중 하나인 May'n 의 Pink monsoon 입니다.tv판 마크로스 프론티어 에는 수록되지 않았고, 극장판중 하나인 허공가희에 수록된 곡입니다.흠 애니메이션 설정상 쉐릴 노므의 데뷔곡 설정입니다.마을을 관광하는 도중에 흘러나오는 곡인데요. 마크로스 프론티어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중 한곡입니다.일전에 Diamondcrevasse 를 추천해드린 적이 있을텐데요.이곡도 바로 다음 정도로 좋아하는 곡입니다. 이전곡보단 살짝 밝으면서 통통튀는 분위기가 매우 좋네요 ㅎㅎ나온지 꽤 된 음악인데도 불구하고 지금들어도 어디 꿀리지 않은 곡 인것 같습니다. 강력히 추천드리는 곡입니다. 꼭 한번 감상하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
[ Game OST ] HUU - 바람이 잠든 곳으로카테고리 없음 2016. 4. 3. 23:41
안녕하세요 ( __ )이번에 소개해드릴 곡은 블레이드앤 소울의 ost 중 하나인 바람이 잠든 곳으로 라는 곡입니다.백청산맥 업데이트중 남쪽에 핀 꽃 이라는 퀘스트를 진행하다보면 들을 수 있는 곡인데요.퀘스트 내용도 내용이지만 이곡이 흘러나오는 그 장면이 너무나 인상적이라 아직도 소름이 돋아나네요...한창 플레이할때 블소 공홈에서 이음악만은 무료로 다운로드 가 가능하게 해 줫을 정도로 대단히 인기가 좋은 음악입니다.블소 자체도 음악적인 측면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그중 보컬이 들어가 있는 음악중에선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입니다. 퀘스트를 할때 하.... 가슴아픈이야기에... 게임 스토리가 이렇게 감동적이어도 되냐는 식의 생각을 많이 햇엇죠..ㅠㅠ제게 블소라는 게임은 이미 망햇지만음악과 게임안에..
-
인프라 기초지식 13. 인프라 운영 part.3Technique/Infrastructure 2016. 4. 3. 23:11
대규모 인프라 관리대규모 인프라를 관리하려면 시뮬레이션에 바탕을 둔 면밀한 사전 준비와 관리체제를 구축해야한다. 대규모 인프라 관리에서 오해하면 안되는 것은 대규모 인프라 관리를 중소 규모 인프라 관리의 연장선에서 파악하는 것이다.대규모 인프라는 인적자원, 데이터센터 공간, 서버,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대역 등 온갖 자원이 동시에 부족해지는 가운데서 우선순위를 매겨 가며 잇달아 대책을 세워야하는 세계다. 중간 규모 이하의 인프라는 임기응변식의 대응으로도 충분히 시간 내에 대응할 수 있을 때가 많다. 하지만 대규모 사이트에서는 면밀하게 계획을 세운 다음 효율을 추구해가지 않으면 계속 증가하는 기기 관리와 장애 건수에 밀려 운영이 파탄난다.대규모 인프라라는 것은 단순히 서버가 늘어나느 ㄴ것뿐만 아니라 운영..
-
인프라 기초지식 12. 인프라 운영 part.2Technique/Infrastructure 2016. 4. 3. 21:25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IT인프라의 운영 관리를 대행해주는 업자를 말한다. IT 인프라르 보유했지만 24시간, 365일 대응하는 체제를 사내에서 만들기 어렵거나, 애초에 인프라를 운영할 수 있는 사람을 확보하지 않았을 때는 MSP와 계약하면 안심할 수 있다. MSP 업자 선택 방법기업의 신뢰성중요한 서버 운영을 위탁할 때, 신뢰할 수 없는 기업을 선택하는 것은 사업적으로 위험하다. 단순히 가격만 보는 것이 아니라 MSP 업자의 컴플라이언트(Compliance) 측면은 물론이고 재무 상황 등도 충분히 확인 해야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인프라 운영 관리를 자사에서 할 수 없을 때, MSP업자에게 인프라 운영의 모든 것을 위임하게 된다. 하지만, MSP업자의 엔지니어와의 커뮤니케..
-
인프라 기초지식 11. 인프라 운영 part.1Technique/Infrastructure 2016. 4. 3. 20:32
장애대응 하드웨어는 언젠가 반드시 고장이 난다는 생각 때문에 가능한 서비스를 멈추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가동한 채로 이중화된 부품 중 고장난 부품을 교환할 수 있는 '핫스왑' 기술이나 이상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보정하는 'ECC 기능' 은 하드웨어의 가용성을 높여주는 기술의 한 예다. 그 밖에도 하이엔드 서버에서는 업체가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경고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업체의 유지보수팀이 달려가 수리해주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버그가 섞여 있기 마련이다.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전에 충분히 테스트하긴 하지만, 아무래도 테스트를 하지 못한 조작이나 혹은 악의적인 접근으로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인프라 엔지니어 입장에서..
-
인프라 기초지식 10. 스토리지Technique/Infrastructure 2016. 4. 3. 18:00
스토리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스토리지 라고 부른다. 스토리지 에는 서버 내부의 저장 영역인 로컬 스토리지와 서버 외부의 저장 영역인 외부 스토리지가 있다. 외부 스토리지에는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것(DAS)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것(NAS, SAN)이 있다. 로컬 스토리지로컬 스토리지란 서버 내부에 디스크를 설치해서 이용하는 저장 영역을 말한다. 외부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 공간은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스토리지를 이용할 때외 비교하면 설치할 수 있는 디스크 개수와 확장성이 적어진다. 외부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란 서버 외부에 준비한 스토리지 장비, 혹은 스토리지 영역을 말한다. 외부 스토리지에는 세가지 형태가 있다. DAS( Direct Attached Storage )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