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파일 조작 커맨드Technique/LPIC 2019. 5. 8. 14:56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하거나 이동시키거나 삭제하거나 등의 커맨드는 Linux를 사용하는 데 있어선 필수 불가결이다. 옵션의 사용방법도 포함하여 확실히 이해해 두는 것이 좋다. ls [옵션] [파일명 또는 디렉터리 명] 옵션 설명 -a [.]부터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한다 -A [.]부터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하지만 [.와 ..]은 표시하지 않는다 -d 디렉터리 자신의 정보를 표시한다. -F 파일의 종류도 표시한다( 디렉터리는 [/] 실행파일은 [*] 심벌릭 링크는 [@]가 붙는다 -i i 노드 번호를 표시한다. -l 파일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t 날싸순으로 표시한다. -h 단위를 붙여서 표시한다. i 노드 번호란 것은 파일의 관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i노드에 붙어 있는 번호이다. CP 커맨드 cp ..
-
매뉴얼 참조Technique/LPIC 2019. 5. 7. 15:24
Linux에선 온라인 매뉴얼 페이지 ( Man 페이지 )가 표준으로 준비되어 있다. man 페이지는 man 커맨드를 이용하여 표시가 가능하다. 커맨드나 파일을 시작으로 라이브러리나 시스템 호출과 같은 기능에 대한 man 페이지도 준비되어 있다. 매뉴얼을 구성하는 파일은 /usr/share/man 에 위치하고 있다. man 페이지의 검색 디렉터리는 환경 변수 MANPATH가 참조된다. MANPATH가 아무것도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etc/man.config 또는 /etc/man.conf 파일에 지정된 기본 리스트가 사용된다. man 커맨드는 환경 변수 PAGER로 지정된 페이지 프로그램 ( 보통은 less )로 표시가 되지만. 본인 취향에 맞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man [옵션] [섹션] 커맨드 ..
-
인용부, 커맨드 이력Technique/LINUX 2019. 5. 7. 15:13
[ ' ] 싱글 쿼테이션 단일 인용부 중에서 모든 문자열이라고 해석된다. [ " ] 더블 쿼테이션 이중 인용 부안에도 문자열로 받아들이게 한다. 하지만 2중 인용부 내에 변수가 있으면 그 변수의 내용이 전개된다. 또한 이중 인용 부안에 백 쿼테이션이 있을 경우 그 내용이 전개된다. 전개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기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 백슬래쉬를 사용한다 백 슬래시 직후의 문자는 모두 보통의 문자로 받아들여진다. 백슬래시는 에스케이프라고 불린다. [ ` ] 백 쿼테이션 백 쿼테이션내에 커맨드가 있으면 거 커맨드를 실행한 결과가 전개된다. 또한 변수의 경우에는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커맨드를 실행한 결과가 전개된다. 커맨드 이력 한번 사용한 커맨드를 한 번 더 사용하거나, 일부분만 바꿔..
-
커맨드의 실행Technique/LPIC 2019. 5. 7. 15:07
커맨드 라인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부터 성립됩니다. 커맨드 옵션 인자 커맨드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이다. [ 옵션 ] 은 커맨드에 대한 동작을 지시하는 스위치이다. 하이픈으로 연결하여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외적으로 하이픈을 필요로 하지 않은 커맨드도 있다. [ 인자 ]는 커맨드에 전해주는 값이다. 인수의 유무에 동작이 바뀌는 커맨드나 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커맨드, 수치를 인수로 필요로 하는 커맨드도 있다. 커맨드는 1행에 복수를 연결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의 예는 pwd 커맨드를 실행 후 ls 커맨드를 연결하여 실행 가는 것이 가능하다 pwd 커맨드는 현재 디렉터리의 절대 패스를 표시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pwd;ls 커맨드를 [;]로 구분 지은 경우 최초의 커맨드 ( 이..
-
환경 변수 PATHTechnique/LPIC 2019. 4. 26. 14:09
프롬프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커맨드를 입력하면 셸에는 그 커맨드가 실행된다. 커맨드에는 내부 커맨드와 외부 커맨드 2종류가 있다 내부 커맨드 : 셸 자체에 들어가 있는 것 외부 커맨드 : 독립된 프로그램으로서 존재하는 것 외부 커맨드의 경우 셸은 그 커맨드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환경 변수 PATH에 지정된 디렉터리를 차례대로 조사하여 찾아낸다. 커맨드가 위치되어 있는 디렉터리를 환경 변수 PATH에 추가하는 것을 [패스가 통한다]라고 말한다. 패스가 통과하지 않은 경우엔 놓여 있는 커맨드 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절대 패스 ( 풀 패스 ) 또는 상대 패스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절대 패스는 최상위 디렉터리 ( / )로부터 표기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내 파일의 위치를 단번에 표시한다. 반..
-
셸의 변수와 환경 변수Technique/LPIC 2019. 4. 26. 14:06
셸은 유저와 Linux 시스템의 대화를 담당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저의 홈 디렉터리나 로그인명 등 유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Linux에는 이러한 정보는 변수에 저장된다. 변수는 그 유효 범위( 스코프 )에 따라 쉘 변수와 환경 변수에 나눠진다. 셸 변수의 유효범위는 그 변수를 정의한 셸, 프로세스에만 한정된다. 해당 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면 셸 변수는 사라진다. 다른 셸을 새로 기동한 경우는 새로운 셸에 원래의 셸에 정의한 내용을 참조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환경 변수는 그 변수를 정의한 쉘 상 또는 그 셸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환경 변수는 셸 변수를 export 커맨드로 이전 시키는 것으로 설정한다. 환경변수 설명 PATH 커맨드나 프로그램..
-
셸의 기본 조작과 설정Technique/LPIC 2019. 4. 23. 14:59
bash에는 커맨드 라인에서의 작업의 효율을 올리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있다. 셸의 보완기능은 커맨드 라인에서의 입력을 지원하고, 입력 실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linuxprofessional.txt라는 파일명을 입력하고 싶을 경우 [linuxp]까지 입력한 상태에서 Tab 키를 누르면 남은 부분이 자동적으로 보완된다 그럼 이 디렉터리에서 cat linux까지 입력한 시점에서 Tab 키를 누르면 어떻게 될까? 이 디렉터리에는 linux.txt와 linuxprofessional.txt라는 2개의 파일이 있고, linux뿐이라면 어느 파일인지 판별할 수 없다. 입력 시점에의 후보가 복수 있을 경우 Tab 키를 누른 시점에서 비프음이 울리고 보완 후보들 간에 공통된 부분이 보완된다. Tab 키를 다시..
-
셸Technique/LPIC 2019. 4. 23. 14:51
Linux 상에서 커맨드를 입력하면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그 결과가 표시된다. 유저로부터 커맨드를 받아들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은 셸( shell )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이다. 셸에는 여러 가지 동류가 있고, 유저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셸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셸은 Bourne 셸 ( sh ), bash( Bourne Again Shell ), C 셸 ( csh ), tcsh, Korn 셸 ( ksh ), z 셸 ( zsh )가 있다. Bourne 셸은 UNIX의 표준적인 셸로 이것을 개량한 것이 bash이다. bash는 다양한 Linux 디스트리뷰션에 있어 표준 셸로 지정되었다. C 셸 ( csh )는 C언어와 닮은 스크립트가 이용 가능한 셸이다. csh를 확장..